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왜 이렇게 올랐을까? 계속 오를까? 괜히 팔았다

by k사회복지사 2025. 6. 18.
반응형

2025년 6월 주가 분석과 상승 원인 총정리

2025년 5월 말부터 6월 중순까지, **두산에너빌리티(034020)**의 주가가 단숨에 50% 이상 급등했습니다. 에너지·원전 관련 종목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이 종목의 움직임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상승 이유를 핵심 위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네이버 검색 2025.6.18


 1. 글로벌 원전 수요 확대와 대형 수주 기대감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유일의 원자로 및 원전 주기기 제조 기업입니다. 최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원전 산업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러시아·중국 원전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하면서 한국 기술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의 해외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표 원전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이 해결되면서 수출 불확실성이 해소되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2. SMR(소형모듈원전) 기술력과 성장성

**SMR(Small Modular Reactor)**은 기존 대형 원전보다 더 안전하고 경제적인 차세대 에너지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AI, 클라우드, 빅테크 기업들조차 이 시장에 투자를 시작할 만큼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 두산에너빌리티는 SMR 핵심 부품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 미국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 등과의 공급 계약을 통해 글로벌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습니다.

📊 세계경제포럼(WEF)은 2040년까지 SMR 시장 규모를 3,000억 달러로 예상하고 있어, 두산에너빌리티의 수익성 개선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3. 실적 전망과 수주잔고 확대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 매출 6조 5천억 원, 영업이익 3,732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3%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연간 수주 가이던스도 10조 7천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실적과 수주잔고 모두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기관 및 외국인 순매수

2025년 들어 기관은 약 3,170억 원, 외국인은 약 2,645억 원을 순매수하며 주가를 강하게 끌어올렸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의 적극적인 매수는 단순한 반등이 아닌 펀더멘털 개선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5. 정부 정책과 에너지 전환 흐름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백지화 정책 이후, 친환경·수소 에너지 확대 기조와 함께 원전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유가 상승
  • 에너지 안보 이슈
  • 탄소 중립 정책 등은
    원전 필요성을 다시 부각시키며 두산에너빌리티에게 호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6. 증권사 목표주가 상향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성장성과 실적 개선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줄줄이 상향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4만 원 이상의 주가를 제시하며 추가 상승 여력을 언급했습니다.


📊 두산에너빌리티 2025년 5~6월 주가 흐름 정리

날짜 종가(원)
5/21 39,100원
5/29 40,350원
6/03 42,650원
6/04 45,900원
6/08 47,500원
6/09 48,000원
6/10 51,100원
6/11 54,600원
6/12 54,600원
6/15 59,600원
6/17 60,500원
 

📌 5월 말 39,100원 → 6월 중순 60,500원, 약 55% 상승!


📌 결론: 상승의 키워드는 '원전 + SMR + 수익성 개선'

 

1~2주만 산 주식이 급등 하는 이유는 뭘까요?

그마저도 지난주에 팔아버려서 너무 아쉽네요.

 

2025.6.13 매도해 버린 나의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 급등은 단순한 테마주 효과가 아닙니다.

  •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원전 수요 증가
  • 차세대 에너지(SMR)에 대한 기술 선점
  • 실적 개선과 외국인·기관 수급 증가
  • 정부의 정책적 지원

이라는 실질적인 펀더멘털 호재가 맞물린 결과입니다.
앞으로도 관련 산업의 확장과 함께, 중장기적 성장주로서의 위상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